2025/07/02 2

제로웨이스트가 문화가 된 나라는 어디일까?

왜 제로웨이스트가 문화가 된 나라를 들여다보려 했을까? 그동안 나는 자취생의 시선에서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하기 위해 어떤 루틴이 가능한지, 그리고 각국의 정책이나 시스템이 자취 생활과 얼마나 연결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 글을 여러 편 작성해왔다. 독일, 프랑스, 일본, 캐나다, 포르투갈, 뉴질랜드 등 여러 나라 자취생들의 사례를 조사하면서 하나의 공통점을 발견하게 됐다. 그들이 제로웨이스트를 의식적으로 노력해서 실천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살 수밖에 없는 환경과 문화 안에서 자연스럽게 실천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예를 들어 어떤 나라는 쓰레기를 버리는 데 비용이 들고, 어떤 도시는 음식물 쓰레기 자체가 발생하지 않는 구조를 만들어 놓았으며, 어떤 지역은 리필숍이나 무포장 가게가 학교, 병원, 도서관처..

해외 사례를 통해 돌아보는 자취형 제로웨이스트의 현실

혼자 사는 사람도 제로웨이스트를 할 수 있을까? 제로웨이스트는 단순히 “쓰레기를 줄이자”는 캠페인이 아니다. 그건 곧 소비를 다시 설계하고, 생활을 재구성하는 삶의 방식이다.하지만 자취생에게 이 실천은 결코 쉽지 않다. 공간이 좁고, 시간이 부족하며, 생활비도 빠듯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 각국의 자취생들은 각자의 조건 속에서 나 혼자라도 가능한 방식을 찾아 쓰레기 없는 루틴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 글은 실제로 제로웨이스트를 실천 중인 해외 자취생들의 루틴을 살펴보고, 그중에서도 자취 초보가 바로 참고할 수 있는 장점과 현실적으로 마주할 수밖에 없는 단점, 예를 들어 한계, 비용, 시간 등을 함께 분석해보려고 한다. 또한 한국 자취생의 입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점과, 개선이 필요한 제..